1. 야구는 미국에서 만든 스포츠라 기본적인 용어가 모두 용어이다.
2. 나는 경기장 직관을 자주 간다.
3. 현장의 물결을 느끼기도 좋고, 소풍으로도 가기 좋다.
4. 야구장 안에 들어가면,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전광판이다.

5. 경기를 보다보면 선수 이름 옆에 PH, PR 등의 글자가 적혀있는 것이 보인다.
6. 각각의 포지션 마다 고유번호와 약자가 부여되어 있다.
7. 투수는 Pitcher의 약자인 P, 포수는 Catcher의 약자인 C이다.
8. 1루수, 2루수, 3루수는 숫자 + Baseman의 약자로 각각 1B, 2B, 3B로 쓰인다.
9. 유격수는 Shortstop의 약자로 SS를 사용한다.
10.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는 Left, Center, Right Fielder의 약자로 각각 LF, CF, RF이다.
11. 그리고 저번에 다루었던 지명타자는 Designadted Hitter의 약자로 DH이다.
12. 제목에 있는 PH는 Pinch Hitter의 약자로 대타라는 뜻이다.
13. PR은 Pinch Runner로 대주자의 약자이다.
14. PH와 PR은 대타나 대주자로 들어섰을 때, 공수교대가 될때까지 임시로 사용하는 약자이다.
15. 즉, 수비로 출전한다면 출전 포지션으로 약자가 변경된다.
16. 아래는 코치의 약자이다.
포지션
|
약자
|
설명
|
감독
|
M
|
Manager
|
수석코치
|
HD
|
Head Coach
|
타격코치
|
HC
|
Hitting Coach
|
주루코치
|
RC
|
Runner Coach
|
투구코치
|
PC
|
Pitching Coach
|
수비코치
|
DC
|
Defensive Coach
|
불펜코치
|
BC
|
Bullpen Coach
|
17. 전광판에 CH, I, II, III, LF, RF가 하단에 추가로 있다.
18. CH는 Chief umpire로 앞 두글자를 따온 것이다.
19. I, II, III은 로마숫자로 1루심, 2루심, 3루심을 의미한다.
20. LF와 RF는 좌익심과 우익심을 말하며 포스트시즌이나 올스타전이 아닌 이상 보통 자리에 서지 않는다.
21. 1루심과 3루심은 때로는 스윙 여부를 체크한다.
22. 1루심은 우타자를, 3루심을 좌타를 확인한다.
23. 이 외에도 키스톤 콤비 (2루수와 유격수를 부르는 명칭), RP (중계 투수), CP (마무리 투수) 등의 용어들이 있다.
한줄 코멘트.
야구 용어는 매우 많다. 그래서 스포츠 용어를 잘 외워두면 좋다.
훨씬 이해도 잘되고 기본적인 것이다. 따라서 포지션 번호도 외워두면 좋겠다.
야구 경기를 보다보면 쓰일 날이 자주 올 것이다.
'KBO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스타전_올스타전 선수는 어떻게 뽑을까? (0) | 2024.06.10 |
---|---|
투수의 포지션_투수도 포지션이 있을까? (0) | 2024.06.08 |
최강야구_최강몬스터즈는 무엇일까? (1) | 2024.06.07 |
잠실야구장 재건축_돔 구장의 장점은? (1) | 2024.06.03 |
김경문 감독_한화는 왜 노장과 계약했을까?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