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메이저리그 9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3편 (ft. 유튜브)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2편 (ft. 스테로이드 시대) (tistory.com)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2편 (ft. 스테로이드 시대)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 (tistory.com)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1. 메이저리그는 1903년 만들어졌다.​2. 121년 동안 말도 많고yagoso.tistory.com  (전편에서 이어집니다.)​52.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지던 스테로이드 시대의 종지부를 찍었다.​53. 2000년대부터는 MLB는 새로운 격변을 맞이하게 된다.​54. NFL을 다시 꺾고 왕좌의 자리에 오른 것이다.​55. ESPN 및 인기 검색량으로서도 우위를 점했기 때문이다.​56. 결국 M..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2편 (ft. 스테로이드 시대)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 (tistory.com)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1. 메이저리그는 1903년 만들어졌다.​2. 121년 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시기를 겪었을 것이다.​3. 메이저리그의 역사는 크게 5개로 나눌 수 있다.​4. 데드볼 시대, 스테로이드 시대, 2차 스테yagoso.tistory.com (전 편에서 이어집니다)​27. 야구는 미국의 국기(國技) 스포츠이다.​28. 국기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29. 한국은 태권도가 될 수 있는 것이다.​30. 야구는 미식축구와 농구보다 훨씬 먼저 프로리그가 생겼다.​31. 또한 20세기에는 베이브 루스의 큰 인기를 끌면서 엄청난 스..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

1. 메이저리그는 1903년 만들어졌다.​2. 121년 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시기를 겪었을 것이다.​3. 메이저리그의 역사는 크게 5개로 나눌 수 있다.​4. 데드볼 시대, 스테로이드 시대, 2차 스테로이드 시대, 스피드 시대, 라이브볼 시대이다.​5. 이름은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이름이니 참고 바란다.​6. 먼저 데드볼 시대는 룰 체계를 세우고, 베이브 루스가 전성을 부리던 시기이다.​7. 미국의 메이저리그는 새로운 스타와 새로운 종목을 발견하게 되는 시대를 맞게 된다.​8. 이 때 시대에는 가장 큰 인기를 끌었다.​9. 그런데 왜 '데드볼' 시대라고 했을까?​10. 내가 통칭하는 데드볼 시대는 1903 ~ 1995년이다.​11. 121년 역사 중 92년을 한 시대로 묶는게 말이 되냐고 생각할 수..

완투-완봉_승리를 하려면?

1. 야구에서는 완투, 완봉승이 있다.​2. 완투과 완봉승, 비슷해보이지만 큰 차이가 있다.​3. 먼저 완투승은 선발투수가 경기의 모든 이닝을 뛰어 승리를 하는 것이다.​4. 과거 초창기 야구에서는 선발투수가 모든 이닝을 던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다.​5. 시간이 흘러 완투를 하면 좋지만 안해도 된다고 생각이 바뀌었다.​6. 완투 자체는 승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7. 완투패, 완투무승부까지 가능하다.​8. 현재는 투구수 조절 및 부상의 위험으로 보통 선발투수는 빠르면 5회, 길면 7회까지 던진다.​9. 그래서 완봉이 점점 줄고 있다.​10. 그렇다면 완봉승은 무엇일까?​11. 완봉승은 한 투수가 실책 등의 비자책점을 제외하고 실점을 하지 않고 경기를 끝내는 것이다.​12. 완봉승을 한다면 그 투수는..

KBO/분석 2024.07.09

WAR_승리 기여도가 중요할까?

1. WAR은 Wins Above Replacement의 약자로 대체 수준 대비 승리 기여도의 약어이다. 2. 세이버메트릭스의 기록으로 선수가 팀 승리에 얼마나 공헌 하였는가를 종합적으로 표현한 스탯이다. 3. 오늘날 세이버메트릭스 및 야구에서 가장 각광받는 스탯이다. 4. 이 지표는 결국 곧 팀의 승수를 의미하고 nWAR을 n승이라고도 이라고 읽을 수도 있다. 5. 가장 중요한건 대체 선수에 비해 몇 승을 더 기여 했는지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6. 가장 중요한건 가상의 대체 선수와 그 선수를 투입했을 때 몇승이 차이가 나는가이다. 7. 만약 WAR이 1이라면 가상의 대체선수를 사용했다면 70승을 할 것을 이 선수를 사용하면 71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8. 그리고 최대 장점은 다른 포지션과 비교가 ..

사회인야구_사회인야구는 뭘까?

​1. 사회인야구는 직업활동이 아닌 취미로 하는 야구를 말한다.​2. 보통 야구를 좋아하거나 잘하지만 프로가 아닌 사람들이 사회인야구에서 뛴다.​3. 우리나라의 사회인야구 역사는 꽤 길다.​4. 1905년 처음으로 들어온 뒤, 1913년 용산 철도국팀을 창단한 것이 시초이다.​5. 27년에는 용산 철도국, 식산은행, 체신국, 경성전기 이렇게 4팀이 경성실업연맹을 결성하여 시합을 했었다.​6. 1982년 6월 22일, 매경신문에 1940년에는 사회인야구 팀이 서울에만 70개팀이 있었다고 한다.​7. 하지만 일본과 비슷한 실업야구이기도 했고, 광복 이후에는 전쟁 등으로 야구를 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았다.​8. 이후에 대학 OB를 중심으로 사회인야구 팀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9. 그리고 1982년 KB..

다른 나라의 야구_중국, 대만 등의 리그들은 어떨까?

1. 전세계에는 많은 야구리그가 있다. 2. 리그 별로, 나라 별로 수준 차이가 많이 난다. 3. 전세계에는 종목별 전세계 주관 단체가 있는데 축구는 FIFA, 농구는 FIBA, 야구는 WBSC이다. 4. WBSC 2023년 랭킹 기준으로 일본이 1위, 멕시코가 2위, 미국이 3위, 한국이 4위로 뒤를 잇고 있다.  5. 미국이 멕시코보다 순위가 낮은 것에 의아할 수 있다. 6. 이유는 메이저리그의 수준은 전세계에서 따라올 리그가 없지만, 선수 부상 방지 차원에서 특급 선수들을 비교적 덜 출전시킨다. 7. 선수들도 올림픽 및 메이저리그 활동을 위하여 WBC 참가를 꺼려한다. 8. 그래서 일본과 멕시코가 1,2등인 것이다. 9. 우리나라의 리그인 KBO는 추후에 설명하고, 전세계 리그를 살펴보겠다. 10...

KBO/분석 2024.06.11

투수의 포지션_투수도 포지션이 있을까?

1. 야구에는 포지션이 있다. 2. 유격수, 투수, 포수, 중견수 등 여러가지 자신의 역할이 있다. 3. 결론부터 말하자면 투수에도 포지션이 있다. 4. 크게 선발 투수, 중계 투수, 마무리 투수로 나뉜다. 5. 중간계투의 특징은 많다. 6. 오프너, 스윙맨, 원 포인트 릴리프, 패전처리 투수 등이 있다. 7. 오프너는 와인 오프너가 아니라, 선발투수 대신에 1, 2이닝 대신 막아주는 중계 투수이다. 8. 특히 스몰마켓 (저자본) 구단들이 많이 이용하는 방식이다. 9. 오프너가 있기 전에는 선발 투수가 6이닝 정도까지 던지고 나머지 투수들이 9이닝까지 던지는 방식이었다. 10. 오프너가 생기면서 선발 투수가 빨리 강판 당했을 때 2이닝 정도를 뛰게 된다. 11. 롱릴리프와 비슷한 역할이다. 12. 롱릴리..

KBO/정보 2024.06.08

지명타자_투수는 왜 타격을 안할까?

뉴욕 메츠에서 투타겸업을 한 구대성​1. 야구는 공격 때에는 1번부터 9번까지 총 9명이 타석에 들어선다.​2. 대타, 대수비 등의 특수한 상황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9명이 들어선다.​3. 수비 때에는 그라운드에 총 9명이 나간다.​4. 공격과 수비가 완전히 분리된 미식축구와는 다르다.​5. 야구는 모두가 타석에 들어서야 하다보니 투수도 타석에 들어섰다.​6. 하지만, 투수의 특수한 포지션을 고려하면 투구를 많이 하면 체력적으로 지친다.​7. 그러다보니 투수는 공을 던지는 것에 중점을 두게 된다.​8. 투수가 타격 연습도 같이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웠기에, 지명타자라는 제도를 만들었다.​9. 지명타자가 논의된 것은 극악의 타고투저 시대였던 1960년대 후반이다.​ ​10. 1968년 당시 사이영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