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BO/초보자 가이드 20

우천취소_비가 내려서

1. 야구 경기만 기다리게 된다.​2. 야구 경기가 안열리는 월요일은 뭔가 이상하다.​3. 그런데 오늘 같이 우천취소가 되면 화가 나기도 한다.​4. 축구, 육상, 야구 등의 야외 스포츠는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5. 비가 오면 경기장 그라운드 상태, 체력 감소, 미끄러짐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6. 따라서 비가 올 시에는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7. 우천 취소가 되면 보통 다시 잡지만 경우에 따라 추후 경기를 취소하는 경우도 있다.​8. 올림픽처럼 대회 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비가 그칠 때까지 기다리기도 한다.​9. 어쩔 수 없이 재경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10. 프로축구나 프로야구처럼 리그가 긴 경우에는 일정을 다시 잡아서 재경기를 한다.​11. 크리켓의 경우에는 동전 던지기로 ..

희생플라이_희생을 하는 이유는?

1. 야구 경기를 보다보면 의도적으로 뜬공을 치는 경우를 볼 수 있다.​2. 아니면 작전을 위해서 번트를 대기도 한다.​3. 일단 영어로는 Sacrifice fly라고 하고, 1954년부터 공식통계기록으로 측정을 시작했다.​4. 무사나 1사에서 주자가 거의 3루에 있을 때 타자가 외야 쪽으로 플라이를 때린다.​5. 그리고 야수가 잡는다면 3루에 있던 주자가 홈으로 출발하여 수비측의 태그보다 먼저 홈에 들어와서 득점하는 것을 말한다.​6. 희생플라이와 희생번트는 타율 계산시 1루를 밟기 전에 아웃을 되고도 타율이 깎이지 않는다.​7. 단, 희생플라이는 타수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출루율에는 분모가 포함된다.​8. 하지만 희생번트는 팀의 작전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이기에 출루율에도 포함시키지 않는다.​9. 희상플..

평균자책점_평균자책점을 구하는 방법은?

1. 평균자책점은 야구에서 투수가 한 게임(9이닝) 당 내준 평균 자책점을 말한다. 2. 영어 약자로는 ERA라고 하고, 일본식 용어로 방어율이라는 말도 쓰였지만 현재는 드물게 쓰이고 있다. 3. 볼넷과 함께 한국식 야구용어가 성공적으로 정착한 대표적인 용어이다. 4. 타자의 타율과 마찬가지로 투수의 실력을 알 수 있는 가장 유명하고 고전적이고 상징적인 스탯이라고 할 수 있다. 5. 평균자책점은 낮으면 낮을수록 좋은 것이다. 6. 상대팀에게 허용한 자책점이 적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7. 자책점이라는 용어를 쓰니 낮으면 좋은 것을 들으면 알 수 있지만, 방어율이라고 하면 혼동할 수 있다. 8. 인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야수들의 실책이나 포수 실책으로 실점한 점수를 결저되지 않는다. 9. 2아웃인 상태에서 실책..

블론세이브_세이브가 막히는 이유

1. 어제에 이어서 오늘은 블론 세이브를 다뤄볼까 한다. 2. 블론 세이브는 말 그대로 세이브를 날리는 것이다. 3. Blown Save로 BS라고도 부른다. 4. 세이브 조건에서 동점 또는 역전을 허용한 투수에게 주어지는 기록이다. 5. 날리다라는 뜻의 Blown과 세이브를 더해 불을 질렀다는 뜻이다. 6. 일단 먼저 던진 투수는 절대로 승리 투수가 될 수 없다. 7. 블론세이브를 기록했다는 것은 동점 혹은 역전을 허용했기에 선행 투수가 승리투수 조건을 만족했더라도 승리투수가 될 수 없다. 8. 블론세이브를 기록했는데 팀이 역전해서 승리를 할 시에는 구원승을 기록하게 된다. 9. 승 하나로 연봉이 오고가는 프로의 세계에서는 블론세이브를 한 투수는 한동안 웃지도 못하는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10. KBO..

세이브_야구에서 승리하려면?

1. 세이브는 야구에서 승리팀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던진 구원투수에게 주어지는 기록이다. 2. 그래서 마무리 투수의 성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3. 야구 규칙에 따라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세이브가 된다. 4. 먼저 자기 팀이 승리를 얻은 경기를 마무리한 투수이다. 5. 승리투수의 기록을 얻지 못한 투수이다. 6. 그리고 0⅓ 이닝 이상 던진 투수이다. 7. 마지막으로 정해진 이닝을 해당 투수가 역전이나 동점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다. 8. 첫번째 조건을 제외하고 2~4번째 조건을 충족했지만 중간에 강판 당한 경우에는 홀드를 준다. 9. 콜드게임으로 경기가 끝나더라도 마지막투수가 경기를 세이브했다면 인정된다. 10. 세이브의 조건은 매우 복잡한데, 아래의 표를 보면 이해가 더 쉬울 것이다.  ..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3편 (ft. 유튜브)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2편 (ft. 스테로이드 시대) (tistory.com)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2편 (ft. 스테로이드 시대)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 (tistory.com)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1. 메이저리그는 1903년 만들어졌다.​2. 121년 동안 말도 많고yagoso.tistory.com  (전편에서 이어집니다.)​52.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지던 스테로이드 시대의 종지부를 찍었다.​53. 2000년대부터는 MLB는 새로운 격변을 맞이하게 된다.​54. NFL을 다시 꺾고 왕좌의 자리에 오른 것이다.​55. ESPN 및 인기 검색량으로서도 우위를 점했기 때문이다.​56. 결국 M..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2편 (ft. 스테로이드 시대)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 (tistory.com)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1. 메이저리그는 1903년 만들어졌다.​2. 121년 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시기를 겪었을 것이다.​3. 메이저리그의 역사는 크게 5개로 나눌 수 있다.​4. 데드볼 시대, 스테로이드 시대, 2차 스테yagoso.tistory.com (전 편에서 이어집니다)​27. 야구는 미국의 국기(國技) 스포츠이다.​28. 국기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29. 한국은 태권도가 될 수 있는 것이다.​30. 야구는 미식축구와 농구보다 훨씬 먼저 프로리그가 생겼다.​31. 또한 20세기에는 베이브 루스의 큰 인기를 끌면서 엄청난 스..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

1. 메이저리그는 1903년 만들어졌다.​2. 121년 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시기를 겪었을 것이다.​3. 메이저리그의 역사는 크게 5개로 나눌 수 있다.​4. 데드볼 시대, 스테로이드 시대, 2차 스테로이드 시대, 스피드 시대, 라이브볼 시대이다.​5. 이름은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이름이니 참고 바란다.​6. 먼저 데드볼 시대는 룰 체계를 세우고, 베이브 루스가 전성을 부리던 시기이다.​7. 미국의 메이저리그는 새로운 스타와 새로운 종목을 발견하게 되는 시대를 맞게 된다.​8. 이 때 시대에는 가장 큰 인기를 끌었다.​9. 그런데 왜 '데드볼' 시대라고 했을까?​10. 내가 통칭하는 데드볼 시대는 1903 ~ 1995년이다.​11. 121년 역사 중 92년을 한 시대로 묶는게 말이 되냐고 생각할 수..

WAR_승리 기여도가 중요할까?

1. WAR은 Wins Above Replacement의 약자로 대체 수준 대비 승리 기여도의 약어이다. 2. 세이버메트릭스의 기록으로 선수가 팀 승리에 얼마나 공헌 하였는가를 종합적으로 표현한 스탯이다. 3. 오늘날 세이버메트릭스 및 야구에서 가장 각광받는 스탯이다. 4. 이 지표는 결국 곧 팀의 승수를 의미하고 nWAR을 n승이라고도 이라고 읽을 수도 있다. 5. 가장 중요한건 대체 선수에 비해 몇 승을 더 기여 했는지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6. 가장 중요한건 가상의 대체 선수와 그 선수를 투입했을 때 몇승이 차이가 나는가이다. 7. 만약 WAR이 1이라면 가상의 대체선수를 사용했다면 70승을 할 것을 이 선수를 사용하면 71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8. 그리고 최대 장점은 다른 포지션과 비교가 ..

삼진_삼진을 당하지 않으려면?

1. 삼진은 무엇일까? 아무것도 모르는 야구팬이 보면 일진, 이진, 삼진인 듯 하다.2. 일단 삼진의 사전적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3. 삼진이란? 야구에서 스트라이크 3번을 당한 경우를 말하고, 스트라이크 아웃의 일본식 표현이다.4. 우리나라도 일본으로부터 야구 흥행을 얻었기 때문에 일본 표현이 많이 들어왔다.5. 삼진과 삼진아웃은 사실 동일한 의미가 아니다.6. 삼진은 스트라이크 3개가 되는 것이지만 스트라이크 낫아웃이라는 상황이 있기 때문이다. 7. 스트라이크 낫아웃은 매우 어렵다.8. 쉽게 말해, 스트라이크 세번째 공은 포수가 무조건 포구를 해 풋아웃을 기록 해야한다.9. 풋아웃은 아웃을 시켜 공을 잡은 선수가 얻는 기록이다. (ex 1루수, 포수)10. 포구를 한번에 하지 못해서 바운드가 되거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