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야구선수들은 타 스포츠에 비해 체구가 크고 달리기가 느리다.
2. 축구나 농구는 계속 뛰어다녀야 하는 반면, 야구는 턴제 스포츠라 순간적인 힘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3. 그렇다고 야구가 힘들지 않은 것은 아니다.
4. 야구는 경기의 절반 이상이 가만히 있어도 더운 여름에 진행된다.
5. 그리고 월요일을 제외하고 6일 동안 경기를 해야하기 때문에, 체력적으로 부담이 많이 된다.
6. 야구라는 종목이 체력을 요하진 않지만, 프로스포츠는 1년 동안 144경기를 하기 때문에 체력이 안좋거나 유리몸이면 뛰기가 힘들다.
7. 기본적으로 빠른 공을 던지고 빠른 공을 치는데 근력이나 순발력을 요구하고, 힘이 있어야 한다.
8. 그래서 100kg가 넘는 거구들이 많다.

150kg의 CC 사바시아
9. 일단 야구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포지션을 정해야한다.
10. 투수는 키가 크면 클 수록 좋다.
11. 사실 야구선수 전체가 키가 크면 클수록 좋다.
12. 포구나 태그도 팔다리가 길어서 더 빠르고, 더 좋은 힘과 파워도 키가 크거나 등치가 커야지 나온다.
13. 하지만 이 점을 극복하고 호세 알투베, 김선빈, 이용규, 정근우 등은 작은 키에도 불구하고 국가대표 선수로 자리매김 했다.
14. 하지만 키스톤 콤비인 유격수와 2루수는 민첩해야하기 때문에, 키가 작은 선수가 선호되기도 한다.
15. KBO 프로야구 선수과 되는 방법을 알아보자.
16. KBO 프로야구 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일단 초등학교 때부터 시작한다.
17. 초등학교에서 야구에 입문하는 과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18. 첫번째는 초등학교 야구부로 대부분 이 길을 밟는다.
19. 두번째는 리틀야구단에 가입하는 방법인데, 정근우 같은 선수들이 이 코스를 밟았다.
20. 그리고 중학교와 고등학교 야구부를 밟으며 계속 연습한다.
21. 그리고 3가지 갈림길이 있다.
22. 첫번째는 신인 드래프트를 하는 방법이 있다.

23. 두번째로는 대학교에 입단한다.
24. 마지막으로 육성선수로 입단하는 방법이 있다.
25. 1번째가 가장 많으니 신인드래프트에 참가했다고 가정해보자.
26. 전국에서 1년에 약 1200명이 참가하는데, 그 중 120명만 뽑힌다.
27. 드래프트에 참가한 선수 중 10% 밖에 뽑히지 않는다.
28. 평생 야구만 하던 사람들인데, 떨어진다면 점점 기회가 밀린다.
29. 그래서 야구 선수가 되기 힘들다.
한줄 코멘트.
야구선수들은 체격이 타 종목에 비해 좋다.
자신이 느리거나 민첩하지 못하더라도, 야구 센스나 파워, 힘 등을 가지고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
'KBO > 초보자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O 순위_순위는 어떻게 결정하는 것일까? (0) | 2024.06.28 |
---|---|
사회인야구_사회인야구는 뭘까? (0) | 2024.06.24 |
KBO_KBO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 | 2024.06.16 |
영구결번_영구결번은 어떤 사람이 되는걸까? (1) | 2024.06.13 |
지명타자_투수는 왜 타격을 안할까? (1)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