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BO 45

메이저리그_메이저리그의 역사 1편 (ft. 1994 메이저리그 파업)

1. 메이저리그는 1903년 만들어졌다.​2. 121년 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시기를 겪었을 것이다.​3. 메이저리그의 역사는 크게 5개로 나눌 수 있다.​4. 데드볼 시대, 스테로이드 시대, 2차 스테로이드 시대, 스피드 시대, 라이브볼 시대이다.​5. 이름은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이름이니 참고 바란다.​6. 먼저 데드볼 시대는 룰 체계를 세우고, 베이브 루스가 전성을 부리던 시기이다.​7. 미국의 메이저리그는 새로운 스타와 새로운 종목을 발견하게 되는 시대를 맞게 된다.​8. 이 때 시대에는 가장 큰 인기를 끌었다.​9. 그런데 왜 '데드볼' 시대라고 했을까?​10. 내가 통칭하는 데드볼 시대는 1903 ~ 1995년이다.​11. 121년 역사 중 92년을 한 시대로 묶는게 말이 되냐고 생각할 수..

도루_베이스를 뺏기 위해서 (feat. 불문율)

1. 야구에는 도루라는 것이 있다.​2. 이 도루 때문에 안좋게 보는 시선도 있다.​3. 도루는 베이스에 있는 주자가 공과 무관하게 다음 베이스로 가는 것이다.​4. 즉, 타자가 치지 못하더라도 다음 베이스로 갈 수 있다.​5. 타자가 안타, 폭투, 보크, 볼넷 등의 이유인 경우를 제외하면 도루이다.​6. 포수가 포구를 하지 못해서 생기는 경우도 있다.​7. 하지만 투수가 주자를 체크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8. 따라서 도루는 투수 7:3 포수로 보는 경향이 크다.​9. 야구의 암묵적인 룰 중 하나는 도루를 하지 않는 것이다.​10. 암묵적인 룰은 불문율이라고도 한다.​11. 불문율은 특히 메이저리그 심하다.​12. 미국의 리그 자체가 보수적이고 폐쇄적이라 불문율이 심할 수 밖에 없다.​13. 야구 자체..

카테고리 없음 2024.07.10

완투-완봉_승리를 하려면?

1. 야구에서는 완투, 완봉승이 있다.​2. 완투과 완봉승, 비슷해보이지만 큰 차이가 있다.​3. 먼저 완투승은 선발투수가 경기의 모든 이닝을 뛰어 승리를 하는 것이다.​4. 과거 초창기 야구에서는 선발투수가 모든 이닝을 던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다.​5. 시간이 흘러 완투를 하면 좋지만 안해도 된다고 생각이 바뀌었다.​6. 완투 자체는 승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7. 완투패, 완투무승부까지 가능하다.​8. 현재는 투구수 조절 및 부상의 위험으로 보통 선발투수는 빠르면 5회, 길면 7회까지 던진다.​9. 그래서 완봉이 점점 줄고 있다.​10. 그렇다면 완봉승은 무엇일까?​11. 완봉승은 한 투수가 실책 등의 비자책점을 제외하고 실점을 하지 않고 경기를 끝내는 것이다.​12. 완봉승을 한다면 그 투수는..

KBO/분석 2024.07.09

WAR_승리 기여도가 중요할까?

1. WAR은 Wins Above Replacement의 약자로 대체 수준 대비 승리 기여도의 약어이다. 2. 세이버메트릭스의 기록으로 선수가 팀 승리에 얼마나 공헌 하였는가를 종합적으로 표현한 스탯이다. 3. 오늘날 세이버메트릭스 및 야구에서 가장 각광받는 스탯이다. 4. 이 지표는 결국 곧 팀의 승수를 의미하고 nWAR을 n승이라고도 이라고 읽을 수도 있다. 5. 가장 중요한건 대체 선수에 비해 몇 승을 더 기여 했는지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6. 가장 중요한건 가상의 대체 선수와 그 선수를 투입했을 때 몇승이 차이가 나는가이다. 7. 만약 WAR이 1이라면 가상의 대체선수를 사용했다면 70승을 할 것을 이 선수를 사용하면 71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8. 그리고 최대 장점은 다른 포지션과 비교가 ..

삼진_삼진을 당하지 않으려면?

1. 삼진은 무엇일까? 아무것도 모르는 야구팬이 보면 일진, 이진, 삼진인 듯 하다.2. 일단 삼진의 사전적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3. 삼진이란? 야구에서 스트라이크 3번을 당한 경우를 말하고, 스트라이크 아웃의 일본식 표현이다.4. 우리나라도 일본으로부터 야구 흥행을 얻었기 때문에 일본 표현이 많이 들어왔다.5. 삼진과 삼진아웃은 사실 동일한 의미가 아니다.6. 삼진은 스트라이크 3개가 되는 것이지만 스트라이크 낫아웃이라는 상황이 있기 때문이다. 7. 스트라이크 낫아웃은 매우 어렵다.8. 쉽게 말해, 스트라이크 세번째 공은 포수가 무조건 포구를 해 풋아웃을 기록 해야한다.9. 풋아웃은 아웃을 시켜 공을 잡은 선수가 얻는 기록이다. (ex 1루수, 포수)10. 포구를 한번에 하지 못해서 바운드가 되거나..

홈런_홈런은 어떻게 칠 수 있는 걸까?

1. 사전적인 의미로는 인플레이 중 타자가 홈으로 들어와 득점한 상황을 말한다.​2. 담장 바깥으로 공을 넘겨서 인플레이 중 수비수가 잡을 수 없게 만들어 홈까지 달리면 홈런이라고도 한다.​3. 후자의 경우가 보통 우리가 아는 담장 밖으로 공을 치는 홈런이다.​4. 일본 야구에서는 홈으로 들어오는 안타를 쳤다고 본루타라고도 부른다.​5. 통산 몇루타 이럴때는 홈런은 4루타로 친다.​6. 보통 홈런을 비유할 때 ~~포가 붙어 대포에 비교한다.​7. 홈런이 되는 순간 볼 데드가 되고, 주자 1명 당 1점씩 득점하게 된다.​8. 홈런에서 누의 공과를 저지를 경우, 상대팀의 항의가 있다면 아웃 처리가 될 수도 있다.​9. 외야수가 만약 펜스 밖에서 공을 잡는다고 하면, 아웃이 될까?​10. 정답은 O와 X 두가..

KBO/분석 2024.07.05

병살_병살타는 무엇일까?

1. 야구에서 병살은, Double Play로 미스플레이 없이 연속으로 아웃 카운트 2개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2. 즉, 연속으로 아웃 카운트가 2개가 생기는 경우에 우리는 병살이라고 부른다.​3. 통계학적으로는 공격 측의 기대 손실이 가장 높은 것이 병살이다.​4. 삼중살이 제일 높긴 하지만,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5. 병살타와 병살은 달라서 병살타만 병살이라고 보통 부르고 그 외에는 더블 플레이라고 한다.​6. 보통 2루수나 유격수가 공을 캐치해 병살을 잡는 과정이다.​7. 이 경우 6-4-3 병살 또는 4-6-3 병살이 이루어진다.​8. 따라서 프로 정도의 타구 스피드나 실력이 아니면 보통 병살은 이루어지지 않는다.​9. 일단 1사 또는 무사여야 하는 점은 당연하고 보통 주자가 1루에 있으면 ..

서건창_단일 시즌 유일 200안타

1. 단일 시즌 기준, 200안타를 넘긴 선수가 단 한명이 있다.​2. 그는 규정타석 3할을 기록해본 적도 없고 데뷔부터 유명한 선수도 아니었다.​3. 그의 이름은 바로 신고선수 출신인 서건창이다.​4. 광주일고에서 에이스로 활약하며, 황금사자기를 우승했었다.​5. 하지만 어깨 부상이 있기도 했으며, 작은 체구로 인하여 2008 신인 드래프트에서 지명 받지 못했었다.​6. 결국 LG 트윈스의 신고선수로 입단하면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7. 하지만 1군에서 한 경기 출장을 하고 팀에서 방출을 당했다.​8. 서건창은 하는 수 없이 현역 입대를 선택한다.​9. 그리고 2011년 전역 후 넥센 히어로즈의 입단 테스트를 보았다.​10. 그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밀어준 사람은 박흥식 2군 감독이었다.​11. 주전 ..

KBO/분석 2024.07.03

입스_입스는 얼마나 힘들까?

대표적으로 입스를 겪었던 구자욱 (출처: 스포츠서울) 1. 운동선수라면, 특히 야구선수라면 거의 대부분이 겪는 문제가 있다.​2. 사실 비난을 받는 것보다 입스가 더욱 더 힘들 정도이다.​3. 정말로 입스는 금기어로 쓰이는 단어로 YIPS라는 영어 단어인데 불안감을 겪는 현상을 말한다.​4. 입스를 말하기만 해도 입스가 전염병처럼 옮을까봐 단어를 언급하기를 꺼려한다.​5. 컨트롤로 유명하던 다니엘 바드는 2011년 경에 입스를 앓게 된다.​6. 이후 스트라이크를 넣지 못하면서 7년 간 회복을 못하기도 했다.​7. 얼마나 심했으면 자신의 아들과도 캐치볼도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8. 그 후 마이너리그 코치로 뛰었다.​9. 코치도 결국에는 공을 던져야하기 때문에 끊임 없는 훈련을 겪었다.​10. 결국에 입스..

KBO/분석 2024.07.02

셀러리캡_셀러리캡은 왜 있는 걸까?

출처: 게티 이미지 코리아​1. 스포츠에는 셀러리캡이 있다.​2. 셀러리캡은 Salary Cap으로 프로 스포츠 리그에 있는 팀 연봉 총액 상한선을 뜻한다.​3. 주로 배구나 농구에서 자주 사용되고, KBO에서도 도입되기 시작했다.​4. 현재는 한국에서 KBO, KBL, WKBL, KOVO에서 시행 중이다.​5. 선수의 몸값이 비싸다보니 돈이 많은 구단들이 훨씬 팀이 성장하게 된다.​6. 따라서 리그의 형평성을 위해서 셀러리 캡 제도를 시행한다.​7. 개방형 리그에서는 시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8. 유럽 축구에서는 대부분 시행하지 않는다.​9. 크게 3가지의 셀러리캡 종류가 있다.​10. 먼저 하드 셀러리캡이 있다.​11. 하드 셀러리캡은 단 1원이라도 기준선을 넘기면 안된다.​12. 만약 넘긴다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