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초보자 가이드

평균자책점_평균자책점을 구하는 방법은?

화이트볼러 2024. 7. 18. 00:00
728x90
반응형

 

 

 

1. 평균자책점은 야구에서 투수가 한 게임(9이닝) 당 내준 평균 자책점을 말한다.

 

2. 영어 약자로는 ERA라고 하고, 일본식 용어로 방어율이라는 말도 쓰였지만 현재는 드물게 쓰이고 있다.

 

3. 볼넷과 함께 한국식 야구용어가 성공적으로 정착한 대표적인 용어이다.

 

4. 타자의 타율과 마찬가지로 투수의 실력을 알 수 있는 가장 유명하고 고전적이고 상징적인 스탯이라고 할 수 있다.

 

5. 평균자책점은 낮으면 낮을수록 좋은 것이다.

 

6. 상대팀에게 허용한 자책점이 적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7. 자책점이라는 용어를 쓰니 낮으면 좋은 것을 들으면 알 수 있지만, 방어율이라고 하면 혼동할 수 있다.

 

8. 인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야수들의 실책이나 포수 실책으로 실점한 점수를 결저되지 않는다.

 

9. 2아웃인 상태에서 실책이 일어나면 그 실책 이후 모든 점수는 자책점에 포함되지 않는다.

 

10. 실책 후에 올라오는 후속 타자들에게 10점이던 100점이던 잘 막아서 0점이던 자책점은 똑같다.

 

11. 왜냐하면 그 실책이 없었으면 이닝이 끝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12. 그래서 투수의 책임으로 치지 않는다.

 

13. 타이틀홀더 결정에 있어서는 승리, 탈삼진과 다르게 규정이닝이 먼저 조건에 붙는다.

 

14. 규정이닝은 리그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팀의 경기 수 X 1 이닝 = 규정 이닝으로 한다.

 

15. 평균자책점 = 자책점/게임(9이닝) = 자책점/이닝/9 = 자책점 X 9/이닝 = 자책점 X 27/아웃카운트 이다.

 

16. 평균자책점만으로 투수를 판단하기는 사실 어렵다.

 

17. 자책과 비자책의 경계가 모호한 것이 가장 크다.

 

18. 야수의 에러와 에러 이후의 상황은 기록원의 재량에 따라 매겨진다.

 

19. 또한 팀의 불펜이 약해서 선발 투수가 긴 이닝을 어쩔 수 없기 소화해야하기도 하다.

 

20. 그 밖에도 파크 펙터, 투타 밸런스, 야수진의 수비 능력 등이 있다.

 

21. KBO는 한 시즌으로는 1993년의 선동열의 0.78가 가장 낮은 기록이다.

 

22. MLB는 1880년의 팀 키프의 0.86이고, NPB는 1943년의 후지모토 히데오의 0.73이다.

 

한줄 코멘트.

ERA은 투수를 나타내는 지표 중 가장 객관적이고 중요한 지표이다.

하지만 ERA가 꼭 그 투수의 모든 능력을 평가하는 결정적인 지표는 아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