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BO 55

육성선수_육성선수는 뭘까?

1. 세상에는 많은 야구 선수들이 있다. 2. 그 중 정규선수와 육성선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3. 신인 지명을 받지 못한 선수를 말하는데, 실력이 충분히 되지만 뽑히지 못한 선수가 보통 육성선수가 된다. 4. 육성선수는 정규선수는 아니고, 엔트리 제한이 없어서 무제한으로 데리고 올 수 있다. 5. 11순위까지 지명을 받지 못했기에 보통 리그에서 사라진다. 6. 하지만 성공 사례도 있다. 7. 대표적으로 연습생 신화의 장종훈, 박경완, 김현수, 서건창, 박해민 등이 있다.   8. 사실 극히 드문 경우이고, 대부분의 선수들은 성공하기 힘들다. 9. 아래에 경우에는 육성선수로 지명을 받을 수 있다. 시즌 도중 웨이버 공시된 뒤 자유계약으로 전환된 선수당해 시즌 중 웨이버에 의한 자유계약, 임의해지 공시가..

KBO/정보 2024.06.12

다른 나라의 야구_중국, 대만 등의 리그들은 어떨까?

1. 전세계에는 많은 야구리그가 있다. 2. 리그 별로, 나라 별로 수준 차이가 많이 난다. 3. 전세계에는 종목별 전세계 주관 단체가 있는데 축구는 FIFA, 농구는 FIBA, 야구는 WBSC이다. 4. WBSC 2023년 랭킹 기준으로 일본이 1위, 멕시코가 2위, 미국이 3위, 한국이 4위로 뒤를 잇고 있다.  5. 미국이 멕시코보다 순위가 낮은 것에 의아할 수 있다. 6. 이유는 메이저리그의 수준은 전세계에서 따라올 리그가 없지만, 선수 부상 방지 차원에서 특급 선수들을 비교적 덜 출전시킨다. 7. 선수들도 올림픽 및 메이저리그 활동을 위하여 WBC 참가를 꺼려한다. 8. 그래서 일본과 멕시코가 1,2등인 것이다. 9. 우리나라의 리그인 KBO는 추후에 설명하고, 전세계 리그를 살펴보겠다. 10...

KBO/분석 2024.06.11

올스타전_올스타전 선수는 어떻게 뽑을까?

1. 올해도 여김없이 올스타전이 개최될 예정이다. 2. 2024 올스타전은 2024년 7월 6일에 열릴 예정이고, 인천 SSG 랜더스 필드에서 열린다. 3. KBO 올스타전에 출전하는 선수를 팬 투표로 대부분 선출한다. 4. 그리고 감독 추천과 선수단 투표를 더하여 선수들이 뽑힌다. 5. 인천에서 열리는 올스타전은 2008년 이후 16년만이며, 아마도 마지막 문학에서 열리는 올스타전이 될 것이다. 6. 현재 팬 투표 집계 상황은 이렇다. 7. 왼쪽에 있는 드림은 삼성이 12명 중 6명으로 반을 차지했고, 나눔은 기아 타이거즈가 2자리를 제외하고 모두 가져갔다. 8. 현재 득표 수 1위는 정해영이고, 양의지는 2위를 달리고 있다. 9. 올스타전이 열리는 날은 토요일이고, 그 전날인 금요일은 올스타 프라이데..

KBO/정보 2024.06.10

타고투저_타고투저의 기준은 뭘까?

1. 야구에는 타고투저/투고타저라는 말이 있다.  2. 타고투저는 타자는 高, 투수는 低라는 용어로 타자의 기량에 비해 투수가 따라가지 못한다는 뜻이다. 3. 투고타저는 반대로 투수가 高 투수가 低라는 용어로 투수의 기량에 비해 타자가 따라가지 못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4. 속된 말로 타신투병이라는 말도 있다. 5. 보통 리그 평균자책점이 4점 중반 이상이거나 리그 평균 OPS가 7할 중반을 넘기면 타고투저라고 칭한다. 6. 반대로 평균자책점이 3점 이하이거나 리그 평균 OPS가 6할 이하면 투고타저라고 한다. 7. KBO는 2009년, 2014~2018년이 타고투저, 1986년, 1993년, 2006년 등이 투고타저 시즌이었다. 8. 2014년에서 2018년은 극심한 타고투저의 시즌이었다. 9. 주..

KBO/분석 2024.06.09

투수의 포지션_투수도 포지션이 있을까?

1. 야구에는 포지션이 있다. 2. 유격수, 투수, 포수, 중견수 등 여러가지 자신의 역할이 있다. 3. 결론부터 말하자면 투수에도 포지션이 있다. 4. 크게 선발 투수, 중계 투수, 마무리 투수로 나뉜다. 5. 중간계투의 특징은 많다. 6. 오프너, 스윙맨, 원 포인트 릴리프, 패전처리 투수 등이 있다. 7. 오프너는 와인 오프너가 아니라, 선발투수 대신에 1, 2이닝 대신 막아주는 중계 투수이다. 8. 특히 스몰마켓 (저자본) 구단들이 많이 이용하는 방식이다. 9. 오프너가 있기 전에는 선발 투수가 6이닝 정도까지 던지고 나머지 투수들이 9이닝까지 던지는 방식이었다. 10. 오프너가 생기면서 선발 투수가 빨리 강판 당했을 때 2이닝 정도를 뛰게 된다. 11. 롱릴리프와 비슷한 역할이다. 12. 롱릴리..

KBO/정보 2024.06.08

최강야구_최강몬스터즈는 무엇일까?

1. 요즘 JTBC에서 방영하는 최강야구가 인기가 많다. 2. 최강야구는 은퇴한 레전드 선수들을 바탕으로 독립리그, 대학교 선수들이 주축이 되는 프로그램 이다. 3. 2022년부터 방영을 시작해, 현재까지 3시즌 연속으로 진행 중이다. 4. 최강야구는 프로그램의 제목이고, 최강 몬스터즈라는 구단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5. 최강 몬스터즈는 구단주와 사장을 비롯해, PD인 장시원이 단장이다. 6. 감독으로는 김성근 감독이 역임 중이다. 7. 과거 이승엽 감독이 2022년 한 시즌 동안 이끌었으며, 두산 베어스와의 감독직 계약으로 사퇴하게 되었다.직책이름 / 등번호역임 기간감독김성근 / 382023 ~수석코치 / 작전코치이광길 / 712023 ~투수코치김선우 / 322022 ~플레잉코치이택근 / 292023 ..

KBO/정보 2024.06.07

4할 타자_꿈의 타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1. 야구는 타율을 지표 중 하나로 본다.  2. 안타 / 타석을 타율로 본다. 3. 한국에서는 타율의 수치를 부를 때 할, 푼, 리라고 부른다. 4. 보통 3할 이상을 치면, 골든글러브를 받는 뛰어난 선수가 된다. 5. 즉, 3번 타석에 서서 1번 안타를 쳤다는 뜻이다. 6. 어떻게 보면 쉬워 보인다. 7. 볼넷, 사구, 희생플라이, 희생번트는 타석과 안타에 포함되지 않는다. 8. 땅볼, 플라이, 삼진을 당하지 않고 안타를 치는 것은 매우 어렵다. 9. 그래서 3할을 치면 보통 골든글러브를 받는다. 10. 골든글러브는 그 해의 포지션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주는 상이다.  11. 사실 원래는 수비를 뛰어난 선수에게 주는 상이다. 12. 메이저리그에서는 골든글러브는 완전히 수비 능력만 보고, 타격을 잘..

KBO/분석 2024.06.06

PH? PR?_이 단어는 무슨 용어일까?

1. 야구는 미국에서 만든 스포츠라 기본적인 용어가 모두 용어이다. 2. 나는 경기장 직관을 자주 간다.  3. 현장의 물결을 느끼기도 좋고, 소풍으로도 가기 좋다. 4. 야구장 안에 들어가면,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전광판이다. 5. 경기를 보다보면 선수 이름 옆에 PH, PR 등의 글자가 적혀있는 것이 보인다. 6. 각각의 포지션 마다 고유번호와 약자가 부여되어 있다. 7. 투수는 Pitcher의 약자인 P, 포수는 Catcher의 약자인 C이다. 8. 1루수, 2루수, 3루수는 숫자 + Baseman의 약자로 각각 1B, 2B, 3B로 쓰인다. 9. 유격수는 Shortstop의 약자로 SS를 사용한다. 10.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는 Left, Center, Right Fielder의 약자로 ..

KBO/정보 2024.06.05

잠실야구장 재건축_돔 구장의 장점은?

1. 잠실야구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야구장 중 하나이다.​2. 정식 명칭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이다.​3. 1982년 7월 15일에 개장했고, 좌석은 총 23,750석으로 16,000석인 고척 스카이돔보다 훨씬 많다.​4. 첫 경기는 MBC 청룡 대 롯데 자이언츠로 1982년 8월 1일에 경기를 했다.​5. LG 트윈스는 1982년부터, 두산 베어스는 1985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6. 잠실야구장의 잔디는 켄터키 블루그래스로, 벤트그라스와 함께 야구장과 골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양잔디이다.​7. 잠실야구장은 중앙 담장까지 125M로 타 구장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고 있어, 홈런이 잘 나오지 않는 구장이다.​준공 직후의 잠실야구장의 모습8. 잠실야구장을 사용하는 팀은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로 모두 2..

KBO/정보 2024.06.03

김경문 감독_한화는 왜 노장과 계약했을까?

1. 모든 스포츠의 코칭스태프 중 가장 우두머리는 감독이다.​2. 따라서 감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3. 감독은 모든 선수들을 이끌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4. 때로는 전략과 전술을 잘 짜야하지만, 모든 선수들을 이끄는 리더십이 가장 필요하다.​5. 한화는 최원호 감독 대신, 더 경력있는 감독을 데리고 오고 싶어했다.​6. 사실 김원형, 이동욱, 류지현 감독 등도 충분히 괜찮았다.​7. 하지만, 우승 경험도 없는 김경문 감독을 선임한 이유가 궁금하다.​​8. 2019년 이후로 경력이 단절된 감독.​9. 1958년생으로 적지 않은 나이.​10. 김성근 감독과 비슷한 유형이다.​11. 김성근 감독은 성적은 보장되어 있었지만, 김경문 감독은 아쉬운 점이 분명하다.​12. 사실, 선임된 내용을 담은 ..

KBO/정보 2024.06.03
반응형